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Node.js
- 액티비티
- Windows10
- 노마드북클럽
- 선형레이아웃
- 노개북
- listview
- BOJ
- github
- CardView
- 안드로이드
- 백준
- CS50
- 클린코드
- 노마드코더
- Android
- 사용자폴더
- activity
- RecyclerView
- androidstudio
- java
- 북클럽
- 부스트캠프
- 지하철api
- 데이터바인딩
- 트렐로 삭제
- 부스트코스
- 윈도우10
- codility
- 알고리즘
- Today
- Total
목록노개북 (11)
Be Developer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1eNiW/btrurxP6u2e/zpfgsUKl5Qox8EUWADFPU1/img.png)
2022. 03. 01 📚 오늘 읽은 범위 6장. 객체와 자료 구조 📖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- 추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사용자가 구현을 모른 채 자료의 핵심을 조작할 수 있어야 진정한 의미의 클래스다. (p.119) - 개발자는 객체가 포함하는 자료를 표현할 가장 좋은 방법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. 아무 생각 없이 조회/설정 함수를 추가하는 방법이 가장 나쁘다. (p.119) - 객체는 추상화 뒤로 자료를 숨긴 채 자료를 다루는 함수만 공개한다. 자료 구조는 자료를 그대로 공개하며 별다른 함수는 제공하지 않는다. (p.119) - 분별 있는 프로그래머는 모든 것이 객체라는 생각이 미신임을 잘 안다. 때로는 단순한 자료 구조와 절차적인 코드가 가장 적합한 상황도 있다. (p.122) - 잡종 구조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WjF8s/btruK5KK8j6/AndE21W0IxyHjZYKxY4Wj0/img.png)
2022. 02. 28 📚 오늘 읽은 범위 5장. 형식 맞추기 📖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- 프로그래머라면 형식을 깔끔하게 맞춰 코드를 짜야 한다. 코드 형식을 맞추기 위한 간단한 규칙을 정하고 그 규칙을 착실히 따라야 한다. (p.96) - 코드 형식은 의사소통의 일환이다. 의사소통은 전문 개발자의 일차적인 의무다. (p.96) - 소스 파일도 신문 기사와 비슷하게 작성한다. (p.98) - 좋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읽기 쉬운 문서로 이뤄진다는 사실을 기억하기 바란다. 스타일은 일관적이고 매끄러워야 한다. (p.114) 🙌 오늘 읽은 소감 - 아직 협업 경험이 부족하다보니 코드 형식을 맞추는 규칙을 정하고 그것을 따르는 것이 익숙하지 않아서 어서 경험해보고 싶다. - 혼자 프로젝트를 많이 했지만 책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iuwR/btrulSeLC9V/bRQCLDZukkiKSFmcjLLHOk/img.png)
2022. 02. 25 📚 오늘 읽은 범위 4장. 주석 📖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- 나쁜 코드에 주석을 달지 마라. 새로 짜라. (p.68) - 진실은 한 곳에만 존재한다. 바로 코드다. 코드만이 자기가 하는 일을 진실되게 말한다. 코드만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유일한 출처다. 그러므로 우리는 (간혹 필요할지라도) 주석을 가능한 줄이도록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. (p.69) - 표현력이 풍부하고 깔끔하며 주석이 거의 없는 코드가, 복잡하고 어수선하며 주석이 많이 달린 코드보다 훨씬 좋다. (p.69) - 몇 초만 더 생각하면 코드로 대다수 의도를 표현할 수 있다. 많은 경우 주석으로 달려는 설명을 함수로 만들어 표현해도 충분하다. (p.70) - 일반적으로 대다수 주석은 허술한 코드를 지탱하거나,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eeDX5/btrtKHS8RbY/m2oDi4U1FJzlopTQC9ya5k/img.png)
2022. 02. 21 📚 오늘 읽은 범위 3장. 함수 📖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- 함수를 만드는 첫째 규칙은 '작게!'다. 함수를 만드는 둘째 규칙은 '더 작게!'다. (p.42) - 함수는 한 가지를 해야 한다. 그 한 가지를 잘 해야 한다. 그 한 가지만을 해야 한다. (p.44) - 함수가 확실히 '한 가지' 작업만 하려면 함수 내 모든 문장의 추상화 수준이 동일해야 한다. (p.45) - 한 함수 다음에는 추상화 수준이 한 단계 낮은 함수가 온다. 즉, 위에서 아래로 프로그램을 읽으면 함수 추상화 수준이 한 번에 한 단계씩 낮아진다. (p.46) - "코드를 읽으면서 짐작했던 기능을 각 루틴이 그대로 수행한다면 깨끗한 코드라 불러도 되겠다." (p.49) - 한 가지만 하는 작은 함수에 좋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