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백준
- 지하철api
- CardView
- 알고리즘
- 선형레이아웃
- CS50
- listview
- RecyclerView
- Windows10
- 부스트코스
- github
- 노마드코더
- 사용자폴더
- 윈도우10
- 데이터바인딩
- 노개북
- 노마드북클럽
- 트렐로 삭제
- Node.js
- 클린코드
- 북클럽
- androidstudio
- BOJ
- 안드로이드
- 부스트캠프
- Android
- java
- activity
- 액티비티
- codility
Archives
- Today
- Total
Be Developer
[Python] len()은 어떻게 상수시간 O(1)으로 동작할까? 본문
반응형
Python에서 전체 요소의 개수를 리턴하는 len() 함수는 O(1)의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.
어떻게 O(1)의 시간 복잡도를 가질 수 있었을까?
len()
은 __len__()
을 호출한다.
__len__()
은 카운터로 작동하며 데이터가 정의되고 저장되면 자동적으로 증가한다.
결과적으로 인터프리터에게 순회하며 길이를 가져오라는 명령대신 이미 저장된 value를 가져오게 된다.
이렇게 len()은 O(1)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게 되었다.
출처
https://www.geeksforgeeks.org/internal-working-of-the-len-function-in-python/
반응형
'Oth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ode.js] sequelize.query()의 결과로 같은 값이 2번 반복될 때 (0) | 2021.02.08 |
---|---|
[Node.js] timeout 문제 (0) | 2021.01.10 |
Comments